□ [종합] 기저효과, 거리두기 완화 기대감 등으로 경기 회복세 지속

    -  다만, 러·우크라 사태 장기화, 중국 봉쇄지역 확대, 주요국의 긴축통화정책 가속화 가능성 등 대외여건 불확실성이 경기회복 흐름을 제약할 가능성 존재


□ [실물경기] 제조업 생산은 증가, 서비스업 생산은 대면업종 위축으로 증가세 둔화

  ㅇ ’22년 2월 중소제조업 생산은 기저효과의 영향으로 전년동월대비 1.8% 증가 

    - 동월 평균가동률은 71.3%로 전년동월대비 증가하였지만, 오미크론 확산 등의 영향으로 전월에 비해 소폭 하락 

  ㅇ ’22년 2월 중소서비스업 생산은 전년동월대비 3.3% 상승하며 양호한 증가세를 유지했지만 변이 바이러스 확산 등의 영향으로 증가폭 둔화


□ [내수] 소매판매액은 증가, 온라인쇼핑 거래액은 서비스업 중심의 오름세 지속 

  ㅇ ’22년 2월 소매판매액은 40.1조로 전년동월대비 2조원(5.3%) 증가 

    - (업태별) 연료가격 상승, 친환경차 판매 증가로 승용차·연료소매점(+11.9%) 등에서 전년동월대비 증가한 반면, 대형마트(-19.2%), 슈퍼마켓·잡화점(-15.1%)은 부진 

    - (재별) 통신기기·컴퓨터, 승용차 등 내구재(+9.0%) 소매판매액은 전년동월대비 큰 폭 증가하였으나, 음식료품 등 비내구재(+2.9%) 소매판매액 증가폭은 둔화 

  ㅇ ’22년 2월 온라인쇼핑 거래액은 15.4조원으로 전년동월대비 1.8조원(13.7%) 증가 

    - 특히, 거리두기 완화 조치에 대한 기대감으로 여행·교통(+35.6%), 음식(+23.0%) 등 서비스업(+22.7%) 중심의 증가세 지속 


[수출] 중소기업 수출액 전년동월대비 높은 증가세 유지 

  ㅇ ’22년 3월 중소기업 수출액은 111억 9천만달러(+10.0%)로 호조세 유지

    - ’22년 1분기 중소기업 수출액은 역대 1분기 중 최고치인 304억 달러 달성

  ㅇ ’22년 3월 국가별 중소기업 수출은 미국(+31.2%), 일본(+16.8%), 홍콩(+14.6%) 및 베트남(+13.9%) 등 주요국에서 전년동월대비 높은 증가세 유지


□ [고용시장] 중소기업 취업자 수는 양질의 측면에서 뚜렷한 개선세 시현 

  ㅇ (취업자) ’22년 3월 중소기업 취업자는 2,478만명으로 전년동월대비 65만명 증가 

     - (규모별) 1~4인 업체 취업자 수는 전년동월대비 5만명(-0.5%) 감소했으나, 5~299인 업체 취업자 수는 70만명(+4.9%) 증가 

     - (업종별) 보건·복지서비스업(+9.4%), 정보통신(+11.0%) 및 전문·과학·기술(+5.2%) 등 비대면·디지털 전환 관련 서비스업 중심으로 취업자 증가세 지속 

     - (임금근로자) 상용근로자(+66만명)와 임시근로자(+14만명)는 전년동월대비 증가하였으며, 일용근로자(-17만명)는 줄어들며 감소폭 확대 

     - (자영업자)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3.5만명),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2.4만명) 모두 늘어났지만 증가세 둔화 


□ [창업·파산] 전체 창업기업 수는 감소했지만, 기술기반업종 창업기업 수는 증가 

  ㅇ (창업) ’22년 2월 창업기업 수는 전년동월대비 2.0% 감소한 10만 7,457개 기록 

    - 다만, 기술기반업종(+4.6%) 창업기업 수는 늘어났으며, 증가폭 또한 전월에 비해 확대 

    - 연령별로 60세 이상(-12.3%), 50대(-7.0%)에서 창업기업 수가 크게 감소하였는데, 이는 고용시장에서 해당 연령대의 취업자 수가 크게 증가한데 기인 

  ㅇ (파산) ’22년 3월 개인파산(-22.9%)은 감소한 반면, 법인파산(+8.0%)은 증가


□ [자금대출] 중소기업 대출잔액 증가폭은 확대되고, 대출금리 상승세 지속 

  ㅇ (대출잔액) ’22년 3월 예금은행의 중기대출은 908.9조원으로 전월대비 7.7조원 증가 

  ㅇ (대출금리) ’22년 2월 예금은행의 중기대출 금리는 전월대비 7bp 상승한 3.59% 기록 

  ㅇ (연체율) ’22년 2월 중기대출 연체율은 0.32%로 전월대비 상승했으나, 낮은 수준 유지 


□ [가격동향] 대외여건 변화 영향 등에 따른 수급불균형으로 주요 원자재 가격 급등 

  ㅇ (원자재) 러·우크라 사태 장기화, 중국의 경기부양 기조, 미국의 긴축통화 가속화 등 대외여건 불확실성 확대로 3대 유가 100달러대 진입 및 주요 비철금속 오름세 지속 

      * 국제유가(배럴당) (Brent) $94.10 → $112.46, (Dubai) $92.36 → $110.93 

      * LME 지수(p) : (’22.1) 4,587.2 → (2) 4,855.8 → (3) 5,174.3 

  ㅇ (물가) 국제유가 상승 등의 영향으로 생산자물가·소비자물가 높은 상승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