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내용]


. 이슈 분석

 

[주요국의 원격근무 현황과 시사점]

 

국내 원격근무 준비수준과 운영비율

원격근무 준비정도는 글로벌 평균보다 높은 수준

하지만 제조업, ·소매업, 숙박·음식점업의 원격근무 운영비율은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

 

원격근무 관련 주요 지원 정책

(법률) 원격근무촉진법(미국), 모바일 노동법(독일)

(사업) 비대면 서비스 바우처 사업(한국), 원격근무 추진 지원금(일본)

 

시사점

원격근무 등 중소기업의 비대면 전환을 위한 법·제도적 인프라 확충

원격근무 도입이 어려운 중소기업에 대한 지원 확대

비대면 분야와 타 분야 정부사업 간 연계 강화

 

. 주요 동향

 

[중국] 2035년 장기 발전 목표 수립

(경제목표) 혁신, 개방, 격차 완화를 통한 국가 체력 강화

(사회목표) 시스템의 현대화와 소프트파워 강화

 

[일본]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국가별 고용유지 지원제도 현황 보고서 발표

(영국) Coronavirus Job Retention Scheme 신설 및 개선

(독일) 조업단축수당 특례조치 마련과 기간 연장

 

[EC] 2020 유럽혁신지수

(종합) EU 회원국의 혁신 성과는 증가했지만, 경쟁국에 비해 낮은 수준

(한국) 높은 혁신성과로 글로벌 경쟁국 중 혁신 리더 국가로 평가

 

[프랑스] 중소기업의 미래산업 전환을 위한 투자 지원

 

(배경) 코로나19에 따른 경제 불황 극복을 위해 경기부양계획 발표(’20.9)

(내용) 중소제조업의 자산 및 기술 취득 비용에 대한 40%의 보조금을 지원

 

[독일] 스마트제조 분야의 국제표준 협력

(개요) 스마트제조 표준화 협력 성과를 글로벌 환경 변화에 따라 재검토

(내용) 스마트제조 표준화의 공동 미래 비전 설정 등

 

[McKinsey] 유럽 스타트업 생태계: 성장과 과제

(현황) 유니콘 기업이 급증하였으나, 후기 투자단계까지의 성장은 지체

(제언) 규제를 성장 친화적으로 개선하고 공공부문 역량을 적극 활용

 

[WEF] 일자리의 미래

(전망) 디지털화로 일자리가 확대되고 직업 수요에 변화가 있을 것으로 예상

(현황) 디지털화에 대응하기 위한 기업의 인적자본투자 관심 증가

(제약) 경제 불황으로 인해 교육 프로그램 감소 가능성 존재

 

[OECD] 주요국의 기업가정신 장려 정책 소개

(유형) 제도적 조건 개선, 기업가와 스타트업 직접 지원, 스타트업 생태계 조성

(원칙) 다양한 분야, 장기적 시행, 적절한 파트너 선정, 평가와 환류

 

[OECD] 코로나19가 중소기업에 미친 영향과 향후 정책 방향

(내용) 중소기업 일자리에 부정적 영향 및 비은행 자금조달 증가

(제언) 접근성, 지속가능성, 역동성, 구조적 대응을 고려한 정책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