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내용]

4차 산업으로의 전환기에 혁신 창업을 선도하는 이스라엘의 성공 사례는 우리에게도 혁신 문화와 고용의 유연안정성을 기반으로 시대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혁신 생태계를 조성할 것을 시사

 

이스라엘의 요즈마 펀드(Yozma Fund)는 민간의 모험적 투자를 장려하는 유인을 제공하고 민영화를 구조적으로 지원함으로써, 혁신 창업을 지향하고 성과 창출에 집중하는 민간 중심 벤처캐피탈 시장 조성에 크게 기여

요즈마 펀드는 이스라엘의 벤처캐피탈 시장 육성을 목표로 1990년대 초 한시적으로 운용되었으며, 민간 벤처캐피탈 시장 규모를 2,700만 달러(1992)에서 65,300만 달러(1998)24배 성장시킴

요즈마 펀드의 성공 요인으로는 벤처기업 정보 공유, 민간 벤처캐피탈에 대한 상승분(Upside) 인센티브 부여, 기술 창업 위주의 투자 대상 선정, 해외 벤처캐피탈의 LP(Limited Partner, 재무적 투자자) 참여 의무화 등이 꼽힘

한국의 모태펀드는 요즈마 펀드와 유사하게 벤처캐피탈에 간접투자하는 방식으로 도입되었으나, 정부 중심 운영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음

 

이스라엘은 4차 산업 중심으로 벤처 생태계가 발전하기 시작하자,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 디지털 수용(Digital Inclusion)을 촉진하는 형태로 신속히 자국의 생태계를 재편함

20132월 예루살렘에 설립된 세계 최대의 지분투자형 크라우드 펀딩(Equity Crowd Funding) 플랫폼 회사 아우어크라우드는 벤처캐피탈이 투자자로 참여하며, 드론, 인공지능, 차량용 레이더, 인공췌장 등 다양한 분야에서 4차 산업 혁명 선도 기업에 투자

기업가가 투자자와 고객과 직접 소통하는 대중 근거형 투자(Crowd-Sourced Investing), 커뮤니티를 통한 산업 재편 및 스타트업 발굴 등의 신속한 변화 수용

 

이스라엘이 4차 산업 혁명의 도래에 대응하여 신속하게 자국의 생태계를 재편할 수 있었던 것은, “정부의 과감한 신산업 수용”, “()의 기술인재 양성”, “대학-기업-스타트업 연계 클러스터 조성”, “모험적 문화의 장려등의 요인이 뒷받침된 결과임

혁신청의 설립(2016), 신산업 발굴 장려, 혁신청 주도의 기술 인큐베이터 프로그램 운영 등을 통해 정부는 기업들이 선도적으로 4차 산업을 주도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음

항공우주산업, 핵기술 개발 등 군 주도의 기술 개발을 민간의 사업과 연계시킴으로써 군 복무가 인적자본 축적과 민간 사업의 기회가 될 수 있도록 지원

산학연 연계의 벤처 클러스터 조성과 후츠파(Chutzpah) 기반의 모험적 문화의 장려는 혁신 창업으로 연결됨

 

시대적 변화를 능동적으로 선도해온 이스라엘의 성공 사례는 쓰나미(tsunami) 수준의 혁신을 추구할 수 있는 혁신 생태계 조성의 과제를 시사

연구 경제(Research Economy)”상업 경제(Commercial Economy)” 간 순환성을 향상시킬 때 혁신 생태계 탄생(Jackson, 2011)

혁신 생태계 조성을 위한 정부의 역할은 혁신의 시장화 능력을 육성하여 상업 경제의 이익이 연구 경제의 초기 R&D 비용을 상회하도록 지원하는 것

혁신의 지속적 발생을 위해서는 사회 전반에 자리잡은 안정지향형 문화의 원인을 파악하고, 긱 이코노미(Gig Economy)와 같이 스스로 기업가가 될 수 있는 모험 지향의 문화를 구축해 나가야 함

혁신 문화 형성을 위해 정치적, 경제적 안정 지속을 기반으로 혁신의 성공 사례를 축적하고 홍보하는 것이 필요하며, 혁신 생태계 및 긱 이코노미의 전제 조건인 고용의 유연안정성(flexicurity)을 위한 법적 제도 확충과 환경 조성 필요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내용문의 : 박재성 연구위원(02-707-9830, jspark@kosbi.re.kr)

나수미 연구위원(02-707-8249, smna@kosbi.r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