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내용]

중 무역전쟁의 심화와 한국의 미중 편중 교역구조는 수출 의존적 우리 경제에 상당한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는 바, 정부의 신남방정책은 포스트 차이나 대안시장으로서 아세안과 인도를 주요 타겟으로 삼고 있다. 특히 인도는 201812월 한국과 수교 45주년이 되며 주요 교역 대상국으로 떠오르고 있다.


2015년 인도의 경제성장률이 16년 만에 처음 중국을 앞질렀고, 2016년 이후에도 앞설 것으로 전망된다. 인도는 세계 3위권의 내수시장 규모와 적극적인 제조업 육성정책으로 중국에 이은 세계 제2의 공장을 지향하고 있다.

세계에 뻗어있는 인도 네트워크의 활용과 중동아프리카 진출 교두보로서도 활용 가능성이 있다. 해외바이어중 구매오퍼가 가장 많은 나라가 인도이기도 하다. 이러한 성장잠재력 등을 고려할 때 포스트 차이나로서 인도는 우리 중소기업의 적극적인 진출 대상임을 본 보고서에서는 제시하고 있다.


-인도 수교(1973) 이후 양국간 교역 성과를 보면, 인도 무역규모가 약1,400배 증가하였다. 최근 인도 수출 규모가 빠르게 확대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는 데 ’17년 기준 한국의 전체 수출대비 인도 수출 비중은 2.6%이며 우리중소기업의 인도 수출 비중은 2.9%6위를 기록하고 있다. ’17년 기준 인도 수출기업 수는 8,226개이며 그 중 중소기업 비중은 88.3%(7,265)를 차지하고 있다.


중국에 대한 견제와 쏠림 방지를 위해서라도 인도시장 진출을 더욱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중소기업의 경우 특히 전략적 사전준비가 필요하다. 먼저 정부와 공공기관에서 제공하는 인도 등 신시장 관련 정보와 지원프로그램의 실효성을 제고해야 한다.


둘째, 인도 진출을 위해서는 지역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한데 다른 지역 전문가에 비해 상대적으로 인도 전문가가 많이 부족하므로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지원이 시급하다.


셋째, 인도는 영토가 넓고 인구가 많을 뿐만 아니라 민족, 종교, 문화, 지역 등의 이질성과 복잡성으로 우리 기업이 진출하는 데 애로사항이 많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는 현지시장에 익숙한 바이어 혹은 에이전트가 중요한데 이들을 발굴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사전준비가 필요하다.


넷째, 인도의 소득수준이 높아질수록 다양한 소비재 수요가 증가할 것이므로 소득수준별로, 다품목 소량으로, 그리고 점진적으로 진출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다섯째, 제품의 품질보다는 가격을 우선시하는 인도시장의 특성상 가격경쟁력을 위한 저가전략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자사 제품의 설계기준(다기능) 완화와 비용절감 차원에서 현지 업체로부터의 부품 조달, 적정품질의 유지 등을 고려해 볼 수 있다.


여섯째, 아세안 지역에 진출하여 생산공장이 있는 기업들은 인도-아세안 FTA를 적극 활용하는 의미에서 인도 진출을 적극 고려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인도 정부는 친기업 정책과 동시에 보호무역 정책을 추진하고 있는 바 우리 기업들도 이에 대응하여 인도의 국산화율이 낮은 수입의존형 업종을 타겟으로 진출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내용문의 : 조이현 수석연구위원(02-707-9826, everwide126@kosbi.r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