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내용]

중국을 대체하는 새로운 시장의 개척이 필요한 시점에서 아세안 국가들에 대한 세계의 관심이 집중. 특히 베트남은 1992년 수교 후 25년 만에 아세안 10개국 중 한국과 가장 교류가 활발한 국가


한국을 비롯한 미국, 중국, 일본 등 주요국의 활발한 베트남 진출상황을 고려할 때 현시점에서의 한국 중소기업의 베트남 진출전략을 새롭게 정립할 필요


인구 9천만 이상에 달하는 시장규모와 연평균 6~7% 이상의 고속 성장으로 시장규모가 지속적으로 확대되는 추세이며, ‘20년 후반에 인구 1억의 인도차이나반도 중심국으로서의 역할 기대


세계의 공장인 중국의 국가적, 경제적 변화와 불안 요소가 발생하였을 때 안정적인 제품과 부품의 공급을 받기 위한 대체 생산거점으로서 베트남은 각광을 받고 있음


대도시를 중심으로 한 현지 소비자들의 유명브랜드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편임. 한류와 LG, 삼성, 현대·기아 등 주요기업 투자·진출 등으로 한국 브랜드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편


최근 중소기업의 베트남 수출이 급성장 하면서 ‘17년 중 100억 달러를 상회한 가운데 우리나라 중소기업의 제2위 수출대상국으로 부상. ’17년말 기준 16천여 개의 중소기업 사업체가 베트남에 수출하고 있으며, 베트남 주력 수출 품목은 무선통신기기, 편직물, 플라스틱 제품 등임


아세안지역 국가들에 대한 개발프로젝트로 남북경제회랑, 동서경제회랑, 남부경제회랑 등이 추진되고 있는 바 이들 지역의 거점도시들을 중심으로 진출하는 것이 바람직


베트남은 지역간 불균형이 심해서 대도시와 물류중심의 거점도시를 중심으로 진출하는 것이 필요하며, 또한 경제회랑을 중심으로 경제특구가 한창 개발중에 있으므로 경제특구를 활용할 필요


베트남을 비롯한 인근 국가들은 전반적으로 제조업의 발전 정도가 낮고 소비재 역시 미미한 수준. 제조업 발달이 미진한 지역에 중소기업이 진출하기 위해서는 다품목 소량 위주의 소비재 수출을 추진하는 것이 중요


우리 정부가 현재 추진하고 있는 ODA 사업과 연계하여 중소기업들이 진출하도록 정부지원 필요


베트남과 태국 국경지역에 태국과의 합작투자로 베트남 및 인근지역으로 진출하는 전략도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