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어를 입력해주세요.

검색어를 입력해주세요.

이미지 타이틀 이미지 타이틀

정책동향

중국 우회수출을 겨냥한 멕시코의 최근 조치와 함의 세부정보
제목 중국 우회수출을 겨냥한 멕시코의 최근 조치와 함의
주요 키워드
발행처 KIEP
등록일 2025-02-11
첨부파일

▶ 불법 이민과 펜타닐 유입 문제 이외에 멕시코를 통한 중국의 대(對)미국 우회수출 역시 미국의 주요 우려 사항인바, 트럼프 정부에서 향후 멕시코에 대한 통상 조치를 통해 압박할 개연성이 있음.

▶ 중국 우회수출을 겨냥해 멕시코가 시행한 것으로 보이는 최근 조치는 △ 전기차 수입에 대한 관세 면제 조치 종료, △ 섬유·의류 품목에 대한 수입 관세 부과, △ IMMEX 내 특정 품목 수입 금지, △ 국제 택배 관세 부과, △ 멕시코 플랜 등임.
- 동 조치는 중국을 명시적으로 언급하고 있지 않으나, 중국을 포함해 북미 3개국 이외 국가의 대멕시코 수출을 과거에 비해 어렵게 만들고, 일부 산업 부문에서 자국의 경쟁력을 향상시키려는 의도를 가지고 시행된 것으로 판단됨.

▶ 멕시코의 최근 조치는 △ 대중국 수입 제한, △ 멕시코의 비(非)핵심 산업 부문 내 조치, △ 멕시코 국산화 강화 등의 함의가 있음.
- [대중국 수입 제한] 동 조치들은 표면적으로 중국을 겨냥하고 있지 않으나, 동 조치의 시행으로 부정적 영향을 받게 될 국가를 살펴보면, 중국을 타깃으로 삼고 있는 것으로 해석될 여지가 큼.
- [비핵심 산업] 멕시코 경제에 상대적으로 타격이 덜할 것으로 예상되는 산업 부문 또는 시장을 중심으로 관세 부과 및 수입 금지 조치를 취한 것으로 판단됨.
- [국산화 강화] 멕시코 내 생산을 늘리고 저부가가치 산업에서 자국산 제품의 생산을 늘림으로써 중국을 위시한 제3국이 USMCA를 활용해 미국으로 수출하는 것을 어렵게 만드는 동시에 멕시코의 부가가치를 향상시키고자 함.

▶ 멕시코가 중국 우회수출 제한을 위해 중국을 위시한 북미 3개국 이외 국가를 대상으로 통상 조치를 취할 가능성이 있으며, 이러한 조치는 한국 기업에 직접적인 피해를 야기할 수 있음.
- 멕시코의 통상 조치는 FTA 비체결국을 대상으로 일괄적으로 취해지는 경우가 대부분인바, 이러한 조치가 암묵적으로 중국을 염두에 둔 것이라 할지라도 한국 기업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여지가 있음.
- 단기적으로는 멕시코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낮은 산업 부문을 중심으로 관련 통상 조치들을 취할 가능성이 높으며, 향후 미국-멕시코 간 협상에 따라 철강 및 알루미늄과 같이 미국과 멕시코에 중요한 산업에서 새로운 조치가 취해질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려움.

 

 

 

※ 자세한 내용은 출처 링크를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출처 링크

해당 페이지의 만족도와 소중한 의견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