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향
제목 | 쿠웨이트 관세청, 12자리 HS Code 도입 | ||||||||||||||||||||||||||||||||||||||||||||||||||||
---|---|---|---|---|---|---|---|---|---|---|---|---|---|---|---|---|---|---|---|---|---|---|---|---|---|---|---|---|---|---|---|---|---|---|---|---|---|---|---|---|---|---|---|---|---|---|---|---|---|---|---|---|---|
주요 키워드 | 쿠웨이트, GCC, ,Hscode | ||||||||||||||||||||||||||||||||||||||||||||||||||||
발행처 | KOTRA | ||||||||||||||||||||||||||||||||||||||||||||||||||||
등록일 | 2025-02-13 | ||||||||||||||||||||||||||||||||||||||||||||||||||||
첨부파일 | |||||||||||||||||||||||||||||||||||||||||||||||||||||
쿠웨이트 관세청, 12자리 HS Code 도입 쿠웨이트, 사우디아라비아, 카타르, 오만, 바레인, UAE로 구성된 걸프 협력 회의(GCC)는 오랜 기간 동안 경제 통합, 무역 정책 간소화, 통일된 관세 규정 채택을 강조해오고 있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GCC는 기존 6자리 HS Code에서 12자리 HS Code로 시스템을 전환하여 제품 분류의 정확성을 개선하는 것을 목표하고 있다.
쿠웨이트는 2025년 1월 1일부로 새롭게 12자리 HS Code 시스템을 도입했다. 기존의 6자리 HS Code에서 12자리로 세부 항목을 상세히 분류함으로써 다양한 상품을 정확하게 추적해 수입수출의 모니터링을 강화하고자 하는 목적이다. 쿠웨이트 관세청은 홈페이지를 통해 상품별 Hs Code 조회 서비스(www.customs.gov.kw/HSCode/HsCode)를 제공하고 있으며, 인근 GCC 국가인 UAE에서 사용하고 있는 12자리 HS Code와 동일한 체계를 사용하고 있다.
대쿠웨이트 주요 수출 품목 Hs Code 알아보기 한국의 대(對)쿠웨이트 주요 소비재 수출 품목 중 대표적인 품목은 화장품이다. 2024년 대(對)쿠웨이트 1위 수출 품목은 승용차, 2~5위 품목은 전선, 아연도강판, 접속기 등 산업재였으며 일반 소비재인 화장품이 다음 6위 수출 품목을 기록했다. 일반 소비재 수출 품목중에서는 화장품이 가장 비중이 큰 품목이다.
한국 관세청에 따르면 화장품은 제33류에 해당하며 Hs Code는 3304로 분류된다. 이 코드는 다음과 같은 하위 항목으로 세분화된다.
이는 제품의 구체적인 특성과 성분, 용도에 따라 다양한 하위 코드로 세분화된다. 예를 들어 3304.99 항목은 기초화장품, 메이크업 화장품, 어린이용 화장품 등으로 나뉠 수 있으며 기능성 화장품의 경우 HS Code 3304.99-9000호로 분류된다. 이처럼 한국 HS Code 시스템은 최대 10자리로 구성된다. 국제적으로 HS Code는 기본적으로 6자리로 통일되어 있다. 이후 각 국가의 필요에 따라 추가 자릿수를 더해 세분화하는데 한국은 6자리 뒤에 4자리를 추가하여 총 10자리의 HS Code를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쿠웨이트에서 사용하는 12자리 HS Code 시스템에서도 화장품의 HS Code 앞 6자리 수는 한국과 동일하다. 다만 쿠웨이트는 이 6자리 뒤에 추가로 6자리 숫자를 더해 품목을 세분화하고 있다.
아래는 쿠웨이트의 화장품 품목의 HS Code 분류 체계이다.
<쿠웨이트의 화장품 HS Code 분류> HS Code 3304류 : 자외선 차단제, 매니큐어/패디큐어 제품을 포함한 미용 또는 메이크업 제품 및 피부 관리 제품(의약품 제외)
[자료: 쿠웨이트 관세청]
시사점 한국은 쿠웨이트의 주요 교역 파트너로서 화장품 뿐 아니라 기계, 차량, 산업 장비 등을 수출하고 있다. 새로운 HS Code 시스템 도입에 따른 시행착오를 줄이기 위해서 쿠웨이트로 수출하고자 하는 기업들은 이러한 변화에 대한 인지와 이해가 필요하다. 수출 업체는 수출 품목의 12자리 HS Code를 숙지해 문서에 반영해야 하며 현지 파트너와 Hs Code 변경 관련 논의를 선행해야 한다. 기존의 6자리 HS Code를 그대로 사용할 경우 쿠웨이트 세관에서 품목 조사 및 코드 재분류 등의 작업을 거쳐야 하므로 긴 시간이 소요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자료: 쿠웨이트 관세청, 한국무역협회, 현지 언론 및 쿠웨이트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 자세한 내용은 출처 링크를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출처 링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