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어를 입력해주세요.

검색어를 입력해주세요.

이미지 타이틀 이미지 타이틀

주간동향

미국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EU와의 관계 변화 주목 세부정보
제목 미국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EU와의 관계 변화 주목
주요 키워드 EU, 트럼프행정부
발행처 KOTRA
등록일 2025-02-12
첨부파일

2025년 1월 20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이끄는 제47대 행정부가 공식 출범했다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우선주의(America First)를 모토로 내세우며 파리기후협정 탈퇴화석연료 생산 확대전기차 의무화 폐지그린뉴딜 종료 등 바이든 전 행정부의 친환경 정책과는 반대되는 정책 기조를 발표했다트럼프 대통령의 취임식에는 EU의 관심이 특히 높았던 유럽산 제품에 대한 수입 관세 부과우크라이나 지원유럽 안보와 관련된 NATO 이슈에 대해서는 직접적으로 언급되지 않았다.

 

Euractiv 등 현지 언론들은 이번 취임식에 EU 집행위원장을 비롯한 주요 유럽 지도자들은 초대되지 않은 반면유럽 내 극우 성향의 정치인들이 다수 초청된 점에 주목했다전통적으로 미국 취임식은 국내 행사로 간주되어 국가 원수나 정부 수반은 초대되지 않지만이번 취임식에는 밀레이 아르헨티나 대통령부켈레 엘살바도르 대통령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등 몇몇 외국 정상들이 초청받았고, EU에서는 극우 성향인 멜로니 이탈리아 총리만 공식적으로 초청된 것으로 나타났다유럽 씽크탱크 EPC(European Policy Centre)는 EU 내 극우 정당들이 트럼프 대통령의 재선을 환영하는 분위기라고 분석하며트럼프 행정부와 유럽 극우 세력 간 협력이 강화될 경우 EU 내부의 정치적 분열이 심화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트럼프 대통령 취임에 대한 EU 반응

 

EU는 미국과의 협력을 지속하길 원하면서도 유럽의 자주성과 단결을 더욱 강조하는 분위기다특히 트럼프 대통령의 자국 우선주의 정책에 대응하여 EU가 글로벌 시장을 선도하기 위해 경쟁력을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EU 주요 인사 및 국별 반응>

인사 및 국명

내용

EU 집행위원장

(폰데어라이엔) EU는 미국과 공통 관심사를 논의하고 협상할 준비가 되어있지만유럽의 이익과 가치를 지키는 원칙을 고수할 것

무역 집행위원

(발디스 돔브로브스키스) EU와 미국은 전략적인 동맹국으로 지정학적경제적으로 협력해야 함. EU는 다자간 규칙에 기반해 미국과의 관계를 유지할 예정이나만약 EU의 경제적 이익이 위협받는다면 비례적 방식으로 대응할 것

외교정책 고위 대표

(카자 칼라스) EU는 미국과의 전략적 관계를 강화하고글로벌 차원의 공동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협력을 지속할 것

유럽중앙은행

(ECB)

(라가르드 총재) EU는 미국의 관세 부과 가능성에 대비해 예측력을 강화해야 하며변화하는 통상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역내 무역을 방해하는 장벽을 제거해야 함

유로그룹 재무장관

(파스칼 도노후 의장트럼프 행정부에 대한 최선의 대응은 EU가 기존에 약속한 목표를 충실히 이행하는 데 있음, EU가 설정한 계획을 실현하기 위해 노력을 배가해야 할 시점임.

독일

(숄츠 총리트럼프 대통령의 정책이 에너지기후무역외교안보 등 여러 분야에서 긴장을 조성할 가능성이 있지만, EU는 이러한 상황에 냉정하고 체계적으로 대응해야 함.

(프리드리히 메르츠차기 총리 후보), 이번 트럼프 대통령의 재임은 EU에 명확성을 가져다줄 것. EU는 하나로 뭉치기 위한 단결 노력을 가속화 해야 하며미 대통령의 매파적 접근방식은 오히려 역내 국방력 강화를 위한 기회로 작용할 수 있음.

프랑스

(마크롱 대통령미국에 지배당하지 않으려면 EU는 자체 이익을 보호하기 위한 조치를 취해야 할 것임.

이탈리아

(멜로니 총리이탈리아는 미국과 유럽 간 대화와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

헝가리

(오르반 총리트럼프 행정부 출범은 유럽 내 우파 세력의 강화로 이어질 것이며이는 브뤼셀(EU)을 겨냥한 도전의 시작임.

벨기에

(피터겜 재무장관트럼프 행정부는 유럽에 경각심을 일깨우는 계기가 될 것. EU는 미국의 관세 보복에만 초점을 맞추기보다는 유럽이 직면한 경쟁력 저하와 생산성 격차 확대 문제를 해결하는 데 더 집중해야 함.

폴란드

(도만스키 재무장관신 트럼프 행정부에 대응하기 위해 유럽은 경쟁력을 강화하고 회원국 간 단결을 도모해야 함이를 위해 에너지 가격을 낮추고 기업 부담을 줄이는 규제 완화를 우선시해야 할 것임.

[자료현지 언론을 종합해 브뤼셀무역관 정리]

 

분야별 반응 및 영향 

 

무역

 

EU가 우려했던 것과는 달리트럼프 행정부 출범 직후 유럽산 제품에 대한 즉각적인 관세 부과 조치는 발표되지 않았다그러나 불공정 무역 대응 강화기존 자유무역협정 검토무역시스템 개편 및 대외 수입청(External Revenue Service) 신설 등 무역정책 변화가 예고되면서 대(對)EU 무역 장벽이 높아질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먼저 미국 무역대표부(USTR)는 오는 4월 1일까지 무역적자 및 국가안보에 대한 위험성을 평가할 예정이며평가 결과에 따라 EU 제품에 대한 추가 관세 부과 가능성이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당일 백악관 기자회견에서 "EU는 미국산 자동차나 농산물을 가져가지 않는 등 미국을 불공정하게 대우하고 있다"며 무역적자에 대한 불만을 표출한 바 있다.

 

2023년 기준 EU와 미국 간의 교역 규모를 살펴보면, EU의 대미 제품 수출액은 5023억 유로대미 수입액은 3465억 유로로, EU는 미국과의 무역에서 1558억 유로의 흑자를 기록하고 있다반면서비스 부문에서는 EU의 대미 수출액이 2924억 유로수입액이 3964억 유로로 미국에 대해 1040억 유로의 적자를 보이고 있다.

 

<2021~2023년 EU-미국 상품 교역 동향>

(단위: 십억 유로)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2a6c0004.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008pixel, 세로 323pixel

[자료: EU 집행위원회]

 

트럼프 대통령은 1기 임기 당시미국의 국가안보를 명분으로 무역확장법 232조를 발동해 무역 제한 조치를 시행한 바 있다이번에도 미국 무역대표부(USTR)의 조사를 통해 유럽산 제품이 미국 국가안보를 위협한다는 결론이 날 경우유사한 조치가 재발할 가능성이 있다한편미국이 유럽산 제품에 관세를 부과하는 경우 EU 역시 이에 상응하는 보복관세를 부과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EU 27개 회원국 중 20개국이 미국에 대한 무역 흑자를 기록 중이기 때문에 미국이 EU 제품에 대한 관세를 부과할 경우다수의 회원국에 상당한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되며특히 미국과의 교역량이 많은 독일이 가장 큰 타격을 받을 가능성이 높다.

 

<2023년 EU 회원국별 미국과의 무역수지>

(단위유로)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5344610a.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896pixel, 세로 1129pixel

[자료: Politico]

 

이 외전면적으로 재검토 될 기존 자유무역협정 관련해서는 EU-미국 간 TTIP(Transatlantic Trade and Investment Partnership)는 아직 합의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직접적인 영향을 없을 것으로 보인다다만미국이 기존 교역국과 체결한 FTA를 수정할 경우, EU와 역외국 간 교역에 간접적인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환경에너지

 

트럼프 대통령은 파리 기후협정 탈퇴그린뉴딜 종료해상풍력 발전 중단화석연료 생산 확대 등의 환경 및 에너지 정책을 발표했는데이러한 조치는 2050년 탄소중립 목표를 추진 중인 EU의 그린딜 정책과 정면으로 충돌할 가능성이 있다특히 미국이 환경 규제를 대폭 완화할 경우, EU가 독자적으로 환경 규제를 강화할 가능성이 커지며탄소국경조정제도(CBAM) 등 친환경 규제를 둘러싼 미-EU 간 무역 경쟁이 심화될 수도 있다.

 

재생에너지 업계는 신규 프로젝트의 투자 불확실성이 증가하고해상 풍력 발전 관련된 철강·조선 산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다또한미국 기업들이 친환경 전환을 위한 추가 비용 부담에서 벗어나면서단기적으로 EU 기업들의 경쟁력이 저하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반면재생에너지 지원과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보조금 혜택 축소는 오히려 청정기술 분야에서 유럽의 투자 매력을 높이는 요인이 될 수 있으며이에 따라 대EU 투자가 늘어날 수 있다는 긍정적인 전망도 나오고 있다한편, EU가 미국의 관세 부과 조치를 방지하기 위해 미국산 천연가스(LNG) 등 에너지 수입을 확대할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관측된다.

 

자동차

 

미국 내 전기차 우대 정책의 전면 재검토는 역내 자동차 산업에 부담을 초래할 것으로 예상된다특히멕시코캐나다산 자동차에 대한 25% 관세 부과 계획은 자동차 산업뿐 아니라 글로벌 공급망 전반에 걸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현재 BMW, 메르세데스, 폴크스바겐 등 주요 유럽 자동차 브랜드들은 미국멕시코캐나다에 생산공장을 운영하고 있어 관세 부과 시 생산비용 상승공급망 차질브랜드 경쟁력이 약화 등의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는 견해다유럽자동차협회(ACEA)는 EU가 미국과 자동차 관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협상을 조속히 진행해야 한다고 촉구하고 나섰다.

 

이 밖에도미국의 자동차 배출규제 완화 조치 계획에 따라 현재 EU 내에서 논의 중인 내연기관 차량 규제에 대한 업계의 개정 요구가 더욱 거세질 것으로 전망된다특히, 2035년부터 시행될 내연기관 차량 전면 금지법을 두고 현재 우파 정당을 중심으로 규제 완화를 요구하는 역내 목소리가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이들은 규정에 명시된 검토 조항을 앞당기고기존 내연기관 차량의 점진적 감축 목표를 재검토하여 유예 기간을 연장하거나 일부 예외 조항을 신설하는 방안을 추진해야 한다는 입장이다특히업계는 내연기관 기술 발전 가능성을 고려한 개정안을 마련할 것을 요구하고 있으며이를 통해 2035년 이후에도 내연기관 차량이 일정 부분 시장에서 존속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철강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연설에서 유럽산 철강에 대해 직접적인 언급을 하지는 않았지만, EU-미국 간 철강·알루미늄 관세 유예 조치가 2025년 3월 말 종료될 예정이므로양측 정부의 관련 동향을 주시해야 하는 상황이다.

 

현재 시행 중인 철강·알루미늄 관세 유예 조치는 2021년 바이든 전 행정부 시절, 2018년 트럼프 1기 행정부에서 촉발된 통상 마찰을 완화하기 위해 합의된 조치이다당시 트럼프 대통령은 무역확장법 232조를 적용하여 유럽산 철강과 알루미늄에 각각 25%, 10%의 관세를 부과했으며이에 대응해 EU도 보복관세를 부과하면서 무역 경쟁이 심화된 바 있다이후 바이든 행정부는 2021년 10월 EU와 지속가능한 철강·알루미늄 협정(GSSA, Global Arrangement on Sustainable Steel and Aluminium)’을 추진하기로 합의하며, EU는 2025년 3월까지미국은 2025년 말까지 철강·알루미늄 관세 부과를 유예하기로 했다.

 

(참고) GSSA(Green Arrangement on Sustainable Steel and Aluminium) 협정은 뜻을 같이하는 국가 간 협력을 통해 철강·알루미늄의 비시장적 과잉 공급을 방지하고 친환경 생산을 촉진하는 것이 목표이며, 2021년 10월 협상이 개시되었으나 아직 합의에는 이르지 못한 상황이다.

 

트럼프 대통령의 복귀에 따라 철강 관세가 부활할 수 있다고 전망되는 가운데만약 다시 유럽산 철강에 무역확장법 232조가 다시 적용될 경우, EU도 보복 관세로 대응할 가능성이 높아 철강뿐 아니라 기타 산업으로도 통상마찰이 확대될 우려가 있다.

 

대중 관계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산 제품에 대해 10%의 추가 관세를 부과 계획을 발표한 가운데해당 제품들이 유럽 시장으로 유입될 가능성과 이에 따른 역내 제조업의 경쟁력 약화 및 가격 압박을 우려하고 있다여기에향후 미국이 EU에도 대중 정책에 동조할 것을 압박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는 상황이다현지 언론 Politico는 미국과 중국 간 경쟁이 심화됨에 따라 EU가 미국과 함께 중국과의 경제 관계를 단절하거나독자적인 노선을 택하고 미국의 관세 부과를 수용하는 두 가지 선택지에 직면했으며어느 쪽을 선택하든 EU에 손해가 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현재 EU는 강경한 대중 정책을 유지하고 있으나향후 미·중 관계가 완화될 경우 EU의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이 발생할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다참고로, EU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정상회담을 개최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며회담은 오는 5월경 열릴 것으로 예상된다.

 

안보 및 방위

 

2025년 1월 8트럼프 대통령은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회원국들로 국방비 지출을 각국 GDP 대비 2%에서 5%로 인상할 것을 요구했다이에 대해 EU 회원국들은 전반적으로 방위비 지출 확대의 필요성에는 공감하면서도, 5%라는 목표치는 과도하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2023년 기준으로 NATO의 전체 방위비 1.3조 달러 중미국은 8600억 달러를 기여하며 전체 예산의 68%를 부담하고 있으나, EU 회원국 전체의 방위비 분담금은 3800억 달러를 차지하고 있다트럼프 대통령은 타 회원국들의 방위비 지출 확대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며 공정한 분담금 없이는 NATO 탈퇴 가능성도 고려할 것이라 밝힌 바 있다.

 

미국은 그동안 NATO를 통해 유럽에 핵심적인 군사 자원과 정보전술적 역량을 제공하며 유럽 안보에 필수적인 역할을 수행해왔다. 2022년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로 미국에 대한 EU의 높은 군사 의존도가 부각되었으며이에 따라 유럽 내에서는 국방 역량을 강화해야 한다는 요구가 커지고 있다. EU 회원국들은 역내 방위 산업을 강화해야 한다는 점에는 공감하고 있지만단기간 내 미군 수준의 군사 역량을 확보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운 상황이다따라서 미국의 NATO 회원국 유지 여부는 유럽 안보에 있어 여전히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EU는 NATO에 가입한 역내 회원국들을 중심으로 국방비 지출 확대를 추진할 것으로 예상되며오는 6월 NATO 정상회담에서 국방비 목표 상향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논의가 이루어질 전망이다그러나 2025년 1월 13프랑스·독일·이탈리아 등 일부 회원국들은 국방 회의 후 5% 목표는 현실적으로 달성하기 어렵다는 입장을 발표한 바 있어향후 협상이 어떻게 전개될지 주목할 필요가 있다.

 

참고로, 2024년 기준 EU 회원국들의 국방비 지출 현황을 보면폴란드가 4.12%로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하고 있으며에스토니아·라트비아·그리스가 3% 이상을 지출하고 있다반면스페인·벨기에·룩셈부르크 등 7개국은 현재 NATO 기준인 2% 이하로 지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4년 NATO 회원국의 GDP 대비 국방비 지출 현황>

국가

국방비 지출

국가

국방비 지출

폴란드

4.12%

체코

2.1%

에스토니아

3.43%

튀르키예

2.09%

미국

3.38%

프랑스

2.06%

라트비아

3.15%

네덜란드

2.05%

그리스

3.08%

알바니아

2.03%

리투아니아

2.85%

몬테네그로

2.02%

핀란드

2.41%

슬로바키아

2%

덴마크

2.37%

크로아티아

1.81%

영국

2.33%

포르투갈

1.55%

루마니아

2.25%

이탈리아

1.49%

북 마케도니아

2.22%

캐나다

1.37%

노르웨이

2.2%

벨기에

1.3%

불가리아

2.18%

룩셈부르크

1.29%

스웨덴

2.14%

슬로베니아

1.29%

독일

2.12%

스페인

1.28%

헝가리

2.11%

NATO 평균

2.71%

[자료: NATO(2024년 6)]

 

참고 1) 아이슬란드는 군대가 없어 국방비 지출에 대한 데이터가 없음(재정과 민간 인력으로 NATO 작전에 기여)

참고 2) 2024년 6월 발표 자료로 각 회원국의 2024년도 실제 방위비 지출과 차이가 있을 수 있음

 

전망 및 시사점

 

EU는 미국과의 직접적인 통상 마찰을 피하면서도협력관계를 유지하는 방향으로 대응할 가능성이 높다그러나 미국이 EU에 적대적인 무역 정책을 펼칠 경우트럼프 1기 행정부 당시의 경험을 바탕으로 체계적인 대응 전략을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EU는 2024년 8월부터 트럼프 전담팀(Task Force)’을 구성해 다양한 시나리오별 대응책을 마련해 왔으며특히 미국의 추가 관세 부과 가능성에 대해 대비하고 있다이에 대해 돔브로브스키스 EU 무역 담당 집행위원은 우리는 준비되어 있다라고 강조한 바 있다.

 

트럼프 행정부의 자국 우선주의 정책에 맞서 EU 역시 보호주의 무역 기조를 강화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1월 29일 EU 집행위원회는 향후 5년간의 정책 추진 방향을 담은 ‘EU 경쟁력 나침반(Competitiveness Compass)’을 발표하며유럽 GDP의 14%를 차지하는 공공 조달 시장에서 유럽산 제품을 우선시하는 조치를 제안하기도 했다.

 

자동차 산업의 경우, EU 집행위원회는 올해 1월 유럽 자동차 산업 미래에 관한 전략대화를 출범해 청정 전환규제 간소화밸류체인기술 및 디지털 혁신에 대한 논의를 진행했으며오는 3월 5일 관련 내용을 발표할 예정이다바이든 행정부 시절 도입된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에 대응해 EU가 추진했던 정책들도 이번 트럼프 2기 행정부의 방향에 따라 수정될 가능성이 있는 만큼동향을 면밀히 모니터링하여 보다 선제적으로 대응해야 할 것이다.

 

한편트럼프 대통령은 EU가 미국산 LNG를 수입하는 것이 유럽 제품에 대한 관세 부과를 막는 방안이 될 수 있다고 지속적으로 압박해 왔다이에 따라 EU가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부과를 피하기 위해 미국산 LNG 수입을 확대할지 주목할 필요가 있다. 2024년 11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은 대러시아 에너지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미국산 LNG 수입 확대 가능성을 언급한 바 있으나독일과 핀란드는 2050년 탄소중립 목표에 역행할 수 있다며 이에 반대하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EU 집행위원회는 오는 2월 26일 역내 에너지 가격 안정화 행동계획(Action Plan on Affordable Energy)’과 러시아 에너지 의존도 완화 로드맵(Roadmap Towards Ending Russian Energy Imports)’을 공개할 예정으로해당 내용이 향후 미국과의 에너지 협력 방향과 어떤 연관성을 가질 지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 밖에도트럼프 대통령이 유럽 내 극우 세력과 연대하여 EU 주요 정책에 개입하려는 시도를 방지하기 위해, EU의 의사결정 방식이 개편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현재 EU는 안보 등 중요 정책에서 만장일치제를 적용하고 있지만헝가리 등 일부 회원국이 반대표를 행사하면서 EU 차원의 공동정책 추진이 반복적으로 지연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이에 따라 보다 효율적인 정책 결정을 위해 가중다수결 방식 도입이 필요하다는 논의가 최근 들어 본격화되고 있다. EU 정책 수립 과정에서 중요한 참고 자료로 활용될 마리오 드라기 전 유럽중앙은행(ECB) 총재의 유럽 경쟁력의 미래(The Future of European Competitiveness)’ 보고서에서도미국과의 글로벌 경쟁에서 뒤처지지 않으려면 만장일치제 대신 가중다수결 방식을 더 많은 분야에 도입해야 한다고 제안한 바 있어이러한 개혁 논의가 트럼프 행정부의 출범으로 더욱 가속화될 가능성이 있다.

 

 

자료: EU 집행위원회, EPC, 현지 언론 종합 및 브뤼셀무역관 보유자료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 자세한 내용은 출처 링크를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출처 링크

https://dream.kotra.or.kr/dream/cms/news/actionOutNewsDetail.do?pageNo=1&pagePerCnt=10&SITE_NO=2&MENU_ID=3410&CONTENTS_NO=1&recordCountPerPage=10&pTmplateCd=NT2326&pDataId=225183&pStartDt=&pEndDt=&sSearchVal=&sGbnCd=&bbsSn=244&pUntyDsetId=&gbn=In&sSearchVal=

해당 페이지의 만족도와 소중한 의견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