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어를 입력해주세요.

건강한 한국경제와 중소벤처기업의 미래를 여는 정책연구기관 KOSI

보도자료

[보도자료] KOSI 중소기업 동향(2025년 3월) 보도자료에 대한 세부내용
제목 [보도자료] KOSI 중소기업 동향(2025년 3월)
이름 김진철 동향분석팀장
작성일 2025년 03월 28일
첨부파일

중소벤처기업연구원(원장 조주현)은 ‘KOSI 중소기업 동향’ 2025년 3월호를 발표하였다.

 

2025년 1월 중소제조업 생산(-10.8%)은 조업일수 감소(-4.0일)와 전자부품과 기계장비 등 주력 업종의 부진으로 전년동월대비 크게 감소하였다. 중소서비스업 생산(-0.8%)은 ‘보건·사회복지’ 등에서 늘었지만, ‘도소매’, ‘숙박·음식점’ 등이 줄며 감소하였다.

 

 

 

2025년 1월 소매판매액은 53.3조원으로 설 명절 영향으로 전년동월대비(52.2조원) 2.2% 증가하였다. 소매판매액은 ‘무점포소매(-2.2%)’ 등은 판매가 줄었지만, ‘대형마트(+18.8%)’, ‘백화점(+7.4%)’ 등에서 늘어 증가 전환하였다.

 

 

 

2025년 2월 중소기업 취업자 수는 2,494만 8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1만 1천명 감소하였다.

 

규모별로 ‘1~4인 업체’의 취업자 수는 전년동월대비 4만 1천명 증가 하였고, ‘5~299인 업체’는 5만 2천명 감소하였다. 중소기업의 ‘상용근로자(+6.2만명)’와 ‘임시근로자(+6.1만명)’는 증가폭이 둔화하였고, ‘일용근로자(-9.3만명)’는 감소세를 지속하였다.

 

 

 

2025년 1월 창업기업 수는 8만 8,478개로 등록일수 감소와 경기부진 등의 영향으로 전년동월대비 27.0% 감소하였다. 업종별로 ‘제조업(-26.3%)’, ‘서비스업(-27.1%)’, ‘건설업(-25.4%)’ 등 주요 업종이 크게 감소하였다. 기술기반 창업기업 수는 ‘지식기반서비스업(-18.8%)’을 중심으로 전년동월대비 20.1% 감소한 1만 7,956개를 기록하였다.

 

 

 

최근 중소기업 생산 활동은 조업일수 감소와 경기부진 지속 등으로 제조업과 서비스업 모두 감소하였다. 설 명절 등 일시적 요인으로 소매판매 위축은 완화되었으나 고금리 기조 및 소비심리 위축으로 부진이 지속되는 상황이다. 또한 중소기업 고용과 창업도 감소하였다. 

따라서 정책당국은 경기 불안요인에 대한 신속한 대응과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을 위한 소비촉진 정책을 추진하여 내수경제를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 붙임 : 「KOSI 중소기업 동향(2025년 3월호)」 1부.  

해당 페이지의 만족도와 소중한 의견 남겨주세요.

서비스 만족도 선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