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어를 입력해주세요.

건강한 한국경제와 중소벤처기업의 미래를 여는 정책연구기관 KOSI

KOSI 중소기업 동향

KOSI 중소기업 동향 (2025년 5월호) 연구에 대한 세부정보
제목 KOSI 중소기업 동향 (2025년 5월호)
저자 정책컨설팅센터
발행기관 중소벤처기업연구원
원문면수 76 page
주제 중소기업 일반
원문파일 다운로드 PDF 바로보기
발행일 2025-06-04

□ [종합] 3월 중소기업 생산과 내수 회복이 더딘 가운데, 통상환경 악화에 따른 경기 불확실성 증대 우려
  - 3월 조업일수 감소 및 전국적 산불 등 일시적 요인으로 생산과 내수 회복이 지연된 가운데, 주요국 관세부과에 따른 통상환경 악화 등으로 경기 하방 위험 확대


□ [실물경기] 중소기업 생산은 제조업과 서비스업 모두 소폭 증가
 ㅇ ’25년 3월 중소제조업 생산은 전년동월대비 0.3% 증가
  - 중소제조업 생산은 조업일수 감소(-0.5일)와 전국적 산불 사고 등 요인에도 불구하고 반도체 생산에 힘입어 전년동월대비 소폭 증가
 ㅇ ’25년 3월 중소서비스업 생산은 전년동월대비 0.2% 증가
  - 중소서비스업 생산은 전년동월대비 0.2% 증가하였는데, 대기업 서비스업 생산이 동기간 1.2% 증가한 것에 비해 저조

□ [내수] 준내구재와 비내구재 판매가 증가로 전환하며 소매판매액 소폭 증가
 ㅇ ’25년 3월 소매판매액은 전년동월대비 2.8%(1.5조원) 증가한 55.6조원 기록
  - 재별로는 내구재(3.9%), 준내구재(1.1%)와 비내구재(2.9%) 모두 증가
 ㅇ ’25년 3월 온라인쇼핑 거래액은 22.4조원으로 전년동월대비 2.6% 증가
  - 온라인쇼핑 거래액은 음·식료품(9.8%), 음식서비스(14.6%) 등에서 증가했으나, 위메프·티몬 사태 이후 e쿠폰서비스 거래 감소가 지속되면서 증가율 둔화

□ [수출] 중소기업 수출은 화장품, 자동차 등 주력 품목 호조로 증가
 ㅇ ’25년 1분기 중소기업 수출은 270.0억달러로 전년동기대비 0.7% 증가
  - 중소기업 수출은 화장품(19.6%), 자동차(67.4%), 반도체제조용장비(11.2%) 등 주력 수출 제품의 수출 호조세가 지속되며 증가
  - 국가별로는 중국(2.9%), 일본(2.9%) 등은 증가하였고, 미국(-2.5%)은 감소하였으나 1분기 중소기업 수출 대상국에서 1위 유지

□ [고용시장] 종사자 5~299인 업체 취업자 수 증가세가 지속되며 중소기업 취업자 수 증가
 ㅇ ’25년 4월 중소기업의 취업자 수는 2,556만 7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3만 4천명 증가
  - 규모별로는 종사자 1~4인 업체의 취업자 수는 7만 3천명 감소, 종사자 5~299인 업체는 10만 7천명 증가
  - 업종별로는 제조업(-7.8만명)과 건설업(-16.1만명)은 감소, 서비스업은 도·소매업(-2.0만명)을 제외한 보건·사회복지서비스업(+21.8만명) 등 대부분 업종에서 증가
  - 중소기업 임금근로자의 경우, 상용근로자(+12.1만명) 증가폭이 확대된 반면, 임시근로자(+5.8만명)는 증가폭이 축소되고, 일용근로자(-6.3만명)는 감소세 지속
  - 자영업자의 경우,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1.1만명)가 증가하였으나 고용원 있는 자영업자(-1.6만명) 감소세가 지속되면서 전년동월대비 소폭 감소

□ [창업] 제조업, 건설업 등 주요 업종에서 모두 감소하며 창업기업 수 감소
 ㅇ ’25년 3월 창업기업 수는 전년동월대비 4.7% 감소한 10만 640개 기록
  - 업종별로는 제조업(-5.2%), 서비스업(-4.7%), 건설업(-5.0%) 모두 감소
  - 연령별로는 30세 미만(-13.5%), 60대이상(-4.5%) 등을 중심으로 감소

□ [자금대출] 중소기업 대출금리 4개월 연속 하락세, 대출잔액 큰 폭 증가
 ㅇ ’25년 3월 예금은행의 중소기업 대출금리는 4개월 연속 하락세를 보이며 전월대비 0.14%p 감소한 4.31% 기록
 ㅇ ’25년 4월 예금은행의 중소기업 대출잔액은 부가세 납부 자금 수요, 미 관세정책 관련 금융지원 등 영향으로 전월대비 7.7조원 증가한 1,051.7조원 기록
 ㅇ ’25년 3월말 중소기업 대출 연체율은 전월대비 0.08%p 하락한 0.76% 기록

□ [가격동향] 소비자물가는 물가안정목표인 2.0%에 근접한 수준 유지
 ㅇ ’25년 4월 소비자물가지수는 석유류 하락 전환에도 농축수산물, 개인서비스 등의 상승폭 확대로 전년동월대비 2.1% 증가
 ㅇ ’25년 4월 생산자물가지수는 국제유가 하향 안정세로 인한 석탄·석유제품(-7.9%) 하락 및 서비스 상승률 둔화 등으로 전년동월대비 0.9% 증가하며 하락세 지속
 ㅇ ’25년 4월 국제유가는 관세 갈등 완화 전망에 따른 글로벌 수요 회복 기대와 OPEC+의 증산 전망 등으로 전월대비 하락
  * 국제유가(배럴당) : [Dubai] (’25.3) $72.49 → (4) $67.74 / [Brent] (’25.3) $71.47 → (4) $66.46

같은 저자의 최근자료

해당 페이지의 만족도와 소중한 의견 남겨주세요.

서비스 만족도 선택